전체 글(13)
-
[JYP Ent.] The Next Big Thing
JYP는 원더걸스-미쓰에이-트와이스-있지로 이어지는 계보를 통해 걸그룹 명가로 회자되는 반면에, 남자 아이돌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초기 1-2세대 아이돌의 경우 남, 여 아이돌 구분 없이 전국민적인 인기를 얻곤 하였으나, 그것은 TV와 같은 전통 미디어라는 단일 창구를 통해 모든 국민이 동일한 콘텐츠를 소비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하지만 유튜브의 등장으로 인한 전통 미디어의 쇠락과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은 개인화된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취향에 맞는 콘텐츠만 골라 소비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아이돌판은 점점 대중의 인식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졌다. 비교적 대중 지향적인 걸그룹과 달리 보이그룹의 경우 팬덤 위주의 활동이 주가 되다 보니 걸그룹에 비해 그 괴리는 더욱 크다. 이 지점에서 대..
2021.02.01 -
[JYP Ent.] 글로벌 K-POP 비즈니스에 투자하고 싶다면
기술발전에 의한 생산성 증대로, 먹고사니즘에서 벗어난 사람들 때문에 필연적으로 놀고 즐길거리가 더 큰 사업이 될 거라는 거대 담론을 얘기하려는 건 아니다. 그런 걸 말할 능력도 없지만, 케이팝이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며 케이팝 비즈니스는 대한민국의 성장 산업이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 소득 수준의 향상, 스마트폰 보급률의 증대, 유튜브와 같은 글로벌 플랫폼 서비스의 대두, 문화적 친밀감 등 나라마다, 지역마다 K-pop이라는 문화상품의 침투가 성공하게 된 이유는 각기 다를 수 있겠지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케이팝은 한국을 넘어 세계인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 글로벌 문화상품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에 반해, 아직 많은 사람들의 관점은 국내에 매몰되어 있는 것 같다. 최근 특정 아티스트들..
2020.11.09 -
[백금T&A] 가치함정(Value Trap)이라는 지뢰
2020년 1분기 실적을 살펴보다 백금티앤에이가 살짝 눈에 들어와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흥미가 생긴 이유는 외견상 PBR 1배 미만의 평가를 받고 있는 가치주의 모습인데, 매출 성장이 나오고 있고 주주환원을 시작하는 모습이 보였기 때문이다. 상장사 중 많은 기업들이 PBR 1배 미만의 저평가를 받고 있는데, 그러한 평가를 받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그저 그런 평가를 받을만한 나름대로의 적합한 이유가 있다. 대표적으로, 회사가 돈은 많이 벌어서 회사 내부에 현금 및 금융상품, 투자부동산 등을 많이 쌓아뒀지만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과 같은 주주환원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거나, 성장이 정체되었거나 역성장하고 있는 상황 등이 해당된다. 그런데, 백금T&A의 경우 PBR 1배 미만의 낮은 평가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
2020.05.17 -
[이지웰페어] 펀더멘탈 훼손없는 낙폭과대는 매수기회
코로나가 팬데믹으로 번지면서 증시의 낙폭과 변동성이 엄청나다. 다들 매크로를 예측하기에 여념이 없지만, 솔직히 매크로를 예측할 능력도 없으며 관심도 없다. 최근의 아수라장에서 내가 한 일이라고는 오직, 내가 투자한 기업들이 코로나로 인해 펀더멘탈에 영향을 받는지 여부와 그 영향의 단/장기 지속 여부 그리고 3~5년 뒤 내 투자 기업들의 모습만을 머릿속에 그리려 노력했다. 시간이 갈수록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는 양극화되어간다. 가심비와 가성비라는 단어 사이에서 말이다. 이지웰페어는 가성비에 자리 잡고 있는 대표주자다. 대다수의 유통 업체들 모두 더 많은 고객에게 자신들의 상품을 노출시키고 판매를 일으키기 위해 무한경쟁을 하며 실질적인 주주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는 와중에, 이지웰페어는 정반대로 특정한 사람..
2020.03.14 -
[이지웰페어] 밸류에이션에 대한 생각
SK텔레콤의 2019년 실적 발표 IR자료를 통해 11번가의 실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출액은 5950억 원에 영업이익 14억 원으로 무려 8년 만의 흑자전환이라고 한다. 회사는 소모적 마케팅을 벗어나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했고, 십일절 프로모션 정착에 따른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9년 매출은 전년대비 역성장하였는데 회사는 직매입 매출 비중이 점차 감소한 효과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시적인 할인 쿠폰을 줄이고 십일절 프로모션에 마케팅 지출을 집중시키는 방식을 통해 일부 매출 감소 효과도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의 온라인 소비시장은 매년 성장중이지만, 치열한 경쟁상황으로 인해 실질적인 주주가치를 창출하는 회사는 거의 없다. 11번가는 십일절 프로모션 등 많은 차별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
2020.02.08 -
전략, 진입장벽 그리고 우상화된 차별화 전략
전략은 성공을 유지하거나 확보할 수 있는 계획이다. 하지만 상품/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아이디어라고 다 전략은 아니다. 또한 고객에게 충분한 수익을 내고 물건을 팔 수 있는 단순한 요령 역시 전략이 아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경쟁자의 행동이나 대응에 깊이 집중한 계획을 전략이라고 칭한다. ··· 경쟁우위를 만들고, 보호하고,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전략적 사고의 핵심이다. 모든 시장참여자에게 공평하게 열려 있는 자유 경쟁 시장은 참여자의 수익을 최소로 깎아 내린다. 그 이상의 수익을 얻으려면, 그 시장참여자는 다른 경쟁자가 해낼 수 없는 그 무엇인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경쟁우위의 덕을 봐야 한다는 뜻이다. ··· 이런 경제적 우위는 경쟁자가 따라 하기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경쟁자 중 일부만이 흉내낼 ..
2020.02.02